안녕하세요. 한의사 미누키입니다.
이번 시간에는 한방치료 중에서 '뜸 치료', 다른 말로 '구법(Moxibustion)'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뜸 치료는 민간에서도 오랫동안 사용되어왔던 치료법 중 하나입니다. 다만, 유명한 치료법임에도 불구하고 뜸 치료(구법)에 대해서 잘 알고 계시는 분들은 많지 않았었기 때문에 이 글을 통해서 뜸 치료에 대해 어떠한 효능이 있는지 많은 분들이 아셨으면 좋겠습니다.
1. 구법(灸法)이란?
구법이란 기타 약물이나 특별히 제작된 기기를 체표의 혈위 상에 놓고 따뜻하게 덮여주는 뜸의 열 힘을 살에 투입시켜 경락의 작용을 통하여 기혈을 따뜻하게 통해줌으로써 병을 치료하고 보건 목적에 도달하는 일종의 외치법입니다.
2. 구법(灸法)의 분류
구법은 쑥을 원료로 사용하는 애구법(艾灸法)과 다른 재료를 원료로 사용하는 기타 구법(灸法)으로 크게 나눠볼 수 있습니다. 그리고 애구법은 쑥을 직접적으로 피부 혈위에 놓고 태우는 직접구와 피부상에 직접 놓지 않고 쑥과 피부 사이에 다른 것을 놓은 뒤에 태우는 간접구로 또 나뉩니다. 최근에는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전자뜸이 개발되어 임상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.
3. 구법(灸法)의 재료
뜸에 사용되는 재료가 여러 종류가 있긴 하지만 현재 임상에서 다용되는 재료는 쑥이 위주가 되고 있습니다. 그 이유로는 쑥이 여러 장점도 있을 뿐 아니라 임상활용에 적합한 재료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.
4. 구법(灸法)의 작용
- 온경산한(溫經散寒) : 온열자극을 통해 경락을 따뜻하게 하고 차가운 기운을 흩어줌으로써, 기혈 운행을 촉진하고 기혈 운행을 강화하여 기육과 피부가 치밀해져 인체를 건강한 생리로 되돌립니다.
- 부양고탈(扶陽固脫) : 양기를 도와 양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주어 양기가 빠져 사지가 차고, 정신이 혼미해진 것을 막습니다.
- 예방(豫防), 보건(保健) : 양기가 충실하게 되면 정신이 충실하게 되고, 방어 기능이 왕성해져서 외사의 침범에 저항하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.
5. 구법(灸法)의 적응증
- 한증(寒症), 만성병(漫性病), 일체의 양허구병(陽虛久病)에 주로 사용
- 피부 질환 : 건선, 옹저, 정창 등
- 내분비 질환 : 고지혈증, 당뇨병 등
- 근골격계 질환 : 관절염, 골다공증, 오십견, 요추 추간판 탈출증, 퇴행성 슬관절염 등
- 내과 질환 : 소화불량, 만성위염, 설사, 변비 등
- 비뇨기계 질환 : 부종, 요실금 등
- 신경 질환 : 중풍 마비, 안면마비 등
6. 구법(灸法)의 금기증
- 극도로 쇠약하거나 정신적으로 피로한 상태일 때
- 감염병
- 급성 염증 질환
- 극심한 탈수
- 출혈 등
7. 구법(灸法)의 부작용
뜸으로 인한 피부 알레르기, 화상, 2차 감염 등의 부작용이 가장 대표적입니다.
당뇨환자분들은 화상이 생기게 되면 잘 치유가 되지 않기 때문에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.
민간에서도 뜸 치료는 잘 사용되고 있지만, 여러 주의점 및 부작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전문 한의사를 통해서 신중히 시행되어야 하는 치료법입니다.
이상으로 한방치료 중 뜸 치료(구법)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
글이 여러분들께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.
'한방치료에 대해서 알아보자!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사상체질 분류법에 대해서 알아보자! (0) | 2020.09.04 |
---|---|
사상체질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자! (0) | 2020.09.01 |
(부항요법) 한방치료에 대해서 알아보자! (0) | 2020.08.24 |
(약침요법) 한방치료에 대해서 알아보자! (0) | 2020.08.20 |
(추나요법) 한방치료에 대해서 알아보자! (0) | 2020.08.18 |